반응형 전체 글38 [Spring Framework]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원리 (싱글톤 디자인 패턴) 오늘은 스프링의 핵심 개념인 Singleton Design Patter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싱글톤 패턴을 설명하기 이전에..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이 되었지만, 최근에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플랫폼에서도 개발이 가능합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여러 고객이 동시에 서비스를 요청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서비스는 여러 고객이 동시다발적으로 요청하는 서비스를 메모리나, CPU자원적인 측면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처리해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전체 서비스의 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싱글톤 패턴이란? - DI컨테이너에 등록된 .. 2021. 3. 17. [Spring Framework] SpringBoot를 이용한 정형화된 백엔드 시스템 개발 (해당 블로그의 정리 내용은 : 우아한형제들의 개발 팀장으로 계시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부트를 이용한 백엔드 시스템 개발을 기반으로 제작하였습니다! ) inflearn 김영한 강사님의 SpringBoot 강의 링크 :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C%9E%85%EB%AC%B8-%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dashboard 오늘은 Back-End시스템의 정형화되어진 개발 모델과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DI 컨테이너, 그리고 Bean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할 때에도 사용자와 .. 2021. 3. 15.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Scale Up 과 Scale Out 차이점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중 하나인 서버 노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Scale Up Scale Out 먼저 Scale Up은 한 대의 서버 내에 존재하는 H/W의 성능을 향상 시켜 서버 자원의 질(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법입니다. 보통 수직적 확장 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한 대의 서버에 16Core 짜리 중앙 처리장치(CPU)를 32Core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Ram / Hdd 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Scale Out은 한 대의 서버의 성능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서버 자체를 여러 대를 두어 Resource(서버 자원)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법입니다. 수평적 확장 이라고 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 2021. 3. 9. [맛집탐방] 이탈리아음식 전문점 파브리카 충북대점에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만나는 동생의 생일을 맞아서 밖에 사람들도 구경하려고 맛있는 음식을 먹으러 갔습니다! 가기로 결정한 곳은 바로바로~ 충북대학교 중문에 메가박스 영화관 빌딩이 있는데 빌딩 2층에 위치한 파브리카로 가기로 했습니다 동생이 가기 전부터 먹어보고싶다고 하던 메뉴가 있었는데 저도 궁금해지더라구요 처음 가봤는데 내부 인터리어는 깔끔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사진으로는 조금 밝게 나온감이 있는데, 실제로 가보면 조금 어두운 조명에 차분한 분위기가 들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천장에 조명만 심플하게 있고 회색벽 천장(?) 이 있는 인테리어를 좋아해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가게 내부가 전체적으로 우드(wood)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렇게 부분부분 컨테이너 벽 같이 되어있어서 이런 느낌의 분위기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가족이나 연인끼.. 2021. 3. 9.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