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rameworks/Spring Framework5 Java Instant와 LocalDateTime 그리고 ZonedDateTime의 차이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자바에서 시간을 표현하는 여러 객체들 중에 제목과 같이 세 가지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여담이지만, 회사에서 글로벌 서비스를 출시함에 있어서 한국 Region 뿐만 아니라 해외 여러 지역에 대해서도 일괄적인 서비스 운영이 필요한 상태였습니다. 일 / 주간/ 월간 별 서비스에 접근하거나(로그인하거나) 새롭게 가입한 사용자들을 카운팅하고 관점에 맞게 각종 통계자료를 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시계열 정보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특정 일에 서비스에 로그인한 사용자들을 DB로부터 읽어올 때 매개변수로 Instant 포맷으로 프론트 클라이언트에서 받아오게 되고, 해당 Instant를 DB .. 2022. 12. 27. [SpringBoot] Eclipse 사용시 Amateras ERD DDL Comment 생성 안되는 오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클립스에서는 UML에서 지원하는 UseCase Diagam 이나 E-R Diagram을 그리고 그 뒤에 자동으로 DDL 문을 생성해주는 sql 스크립트를 생성해주는 아마테라스 Plug-in 을 지원해주는데, 직관적으로 생성할 수 있어서 상당히 편리하다 먼저 유즈케이스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난 뒤 기본적인 Funtional Design이 끝난다면 E-R다이어 그램 또한 생성할 수 있다 sql 벤더별로 타입이 조금씩 다르고 Define하는 명령어도 조금씩 다른 경우가 많은데 아마테라스에서는 주요 벤더들을 지원해주고 있어서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근데 sql문을 생성해주는 DDL 을 생성할 때 comment가 동시에 생성이 안되는경우가.. 2021. 12. 14. [Spring Framework] 스프링의 원리, 컴포넌트 스캔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본 원리인 컴포넌트 스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인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주로 Annotation(주석)을 기반으로 하여 Spring Bean(웹/앱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Configuration Class의 추상화)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Bean간의 의존성을 주입해주고 있습니다.(물론, XML기반 Bean등록, @bean 어노테이션 등 다른 방법도 존재합니다) Component Scan방식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따로 설정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도 스프링 빈을 등록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Autowired 라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 줄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스캔의 대.. 2021. 3. 22. [Spring Framework]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원리 (싱글톤 디자인 패턴) 오늘은 스프링의 핵심 개념인 Singleton Design Patter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싱글톤 패턴을 설명하기 이전에..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이 되었지만, 최근에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플랫폼에서도 개발이 가능합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여러 고객이 동시에 서비스를 요청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서비스는 여러 고객이 동시다발적으로 요청하는 서비스를 메모리나, CPU자원적인 측면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처리해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전체 서비스의 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싱글톤 패턴이란? - DI컨테이너에 등록된 .. 2021. 3. 1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