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엔드2

[생각정리] 내 코드 지키기 안녕하세요 Dev. Pluto입니다. 오늘은 현업 개발을 하면서 다른 개발자들과 같이 일하는 방법, 그리고 자신이 작성했던 코드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잘 전달할까?? 에 대한 스스로의 고찰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최근에 이런 부분에 깊게 생각해보아야 겠다 느낀점이 많았습니다.) 개발자로서 누구와 소통하거나 자신이 작성하였던, 그리고 타인이 작성하였던 코드를 보면서 회의를 하거나 의견을 주고받는 경우는 정말 빈번합니다. 개발을 함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것도 중요하지만 타인에게 자신의 짠 코드를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작성을 했었는지, 어떻게 동작하는 코드인지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글을 작성하는 필자의 사례를 들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여느때와 같이 요구사항을 전달받고 개발을 .. 2023. 1. 25.
[Spring Framework] 스프링의 원리, 컴포넌트 스캔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본 원리인 컴포넌트 스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인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주로 Annotation(주석)을 기반으로 하여 Spring Bean(웹/앱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Configuration Class의 추상화)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Bean간의 의존성을 주입해주고 있습니다.(물론, XML기반 Bean등록, @bean 어노테이션 등 다른 방법도 존재합니다) Component Scan방식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따로 설정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도 스프링 빈을 등록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Autowired 라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 줄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스캔의 대.. 2021.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