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vOps2 [NetWork] 포트포워딩과 로드밸런서 그리고 리버스프록시 안녕하세요 Dev. Pluto입니다 2024년이 벌써 3월이 되어버렸습니다.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네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내 네트워크를 뜯어보면서 배웠던 부분들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상 독자 해당 문서는 public ip, private ip등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이 있거나 포트포워딩에 대해서 정확한 개념이 없으신 분들에게 적합한 문서입니다. 목차 포트포워딩을 깊게 공부하게 된 동기 공인IP와 사설 IP 포트포워딩 포트포워딩의 문제점과 해결책 결론 Motivation 오늘도 평범히 맡은 서비스를 확장하고 유지보수를 하던 도중 SNS플랫폼과 Oauth인증 이후에 redirect경로로 사내 WiFi에 접속해 있는 본인의 Local Pc에 플랫폼 측에서 내려준 access.. 2024. 3. 4. [Infra] 사내 시스템에서는 왜 KafKa를 도입했을까? 안녕하세요! Dev. Pluito 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인사를 드리게 됐습니다! (최근 이런저런 준비하는 것들과 일들이 많이 생겨서 블로그를 많이 작성하지 못했네요..😭) 오늘은 회사에서 도입하기로 결정된 아파치 카프카에 대해서 그 특징을 알아보고 어떤 이유에서 매력적이었는지. 선택한 이유는 무었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대상 독자 이 문서는 아파치 카프카 에 대해서 “들어만”본적 있거나 분산 환경에서의 이벤트 기반 Message Queue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적합한 문서입니다. What is Kafka? “아파치 카프카는 분산 이벤트 저장 및 스트림 처리 플랫폼” 이라고 사전적 정의에 명시돼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사전적인 정의로만 카프카를 이해하고 설명한다면 필자는 단순.. 2023. 7. 14. 이전 1 다음 반응형